에른스트 1세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른스트 1세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은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을 역임했다. 나폴레옹 전쟁에 참전하여 군사적 활동을 하였으며, 빈 회의를 통해 영토를 확장했다. 작센고타알텐부르크의 프리드리히 4세 공작 사후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이 되었으며,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외삼촌이자 시아버지이다. 그는 다양한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코부르크 가문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 프란츠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은 1750년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국에서 태어나 1800년부터 1806년까지 공국을 통치했고, 프랑스 혁명 전쟁에 참전했으며, 그의 후손들은 유럽 여러 왕가와 관계를 맺고 아들 레오폴트 1세는 벨기에 초대 국왕이 되었다. - 작센코부르크고타가 - 에른스트 2세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에른스트 2세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은 1844년부터 1893년까지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의 공작으로서 자유주의 개혁을 지지하고 여러 전쟁에서 프로이센을 지지했으며 유럽 왕가들과 인척 관계를 맺었으나 말년에는 사치스러운 생활로 비판받은 아마추어 작곡가였다.
에른스트 1세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초대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
출생 이름 | 에른스트 안톤 카를 루트비히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자 |
출생 | 1784년 1월 2일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국, 코부르크 |
사망 | 1844년 1월 29일 |
사망지 | 독일 연방,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 고타 |
매장지 | 모리츠 교회, 그 후 굴로켄베르크 묘지 |
종교 | 루터교 |
통치 | |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에른스트 3세) | 1806년 12월 9일 – 1826년 11월 12일 |
이전 통치자 | 프란츠 |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에른스트 1세) | 1826년 11월 12일 – 1844년 1월 29일 |
이전 통치자 | 프리드리히 4세 |
후임 통치자 | 에른스트 2세 |
가문 | |
가문 |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가문 (1826년까지) 작센-코부르크-고타 가문 (1826년부터)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프란츠 |
어머니 | 아우구스타 로이스 추 에베르스도르프 백작부인 |
배우자 | 루이제 폰 작센-고타-알텐부르크 공녀 (1817년 결혼, 1826년 이혼) 마리 폰 뷔르템베르크 공녀 (1832년 결혼) |
자녀 | 에른스트 2세 알베르트 |
2. 생애
코부르크에서 프란츠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과 아우구스테 로이스 추 에베르스도르프 백작부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정확하게는 사산된 형이 있었으므로 차남이다.[1] 그의 남매로는 포르투갈의 페르난두 2세 국왕의 아버지이자 불가리아의 페르디난드 1세 국왕의 할아버지인 페르디난트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벨기에의 초대 국왕인 레오폴 1세,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의 어머니인 빅토리아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녀가 있다.
1803년 5월 10일, 19세의 에른스트는 아버지의 병세가 위독해지자 성년으로 선포되었고, 공국의 통치에 참여해야 했다.[1] 1806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그는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국의 에른스트 3세로 계승했다. 그러나 그는 나폴레옹 군대에 의해 공국이 점령당하고 프랑스의 행정 아래 있었기 때문에 즉시 그의 영지를 공식적으로 통치할 수 없었다.[1] 다음 해인 틸지트 조약 (1807년) 이후,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국은 재통합되어 에른스트에게 반환되었다.[1] 이는 그의 여동생인 율리아네가 러시아 차르의 형제와 결혼했기 때문에 러시아의 압력에 의해 이루어졌다.
1813년 이후, 에른스트는 프로이센의 장군이었으며 나폴레옹에 대항하는 군사 작전에 참여했다. 그는 뤼첸 전투와 라이프치히 전투 (1813년)에 참전했고, 1814년에는 프랑스 요새인 마인츠로 진격했다.[1] 라이프치히 전투 이후, 그는 "제5군단"을 지휘했다.[3]
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이 패배한 후, 1815년 6월 9일 빈 회의를 통해 에른스트는 St. Wendel 마을 주변의 450제곱킬로미터 면적과 25,000명의 주민을 얻었다. 그 지역은 두 번째 파리 조약에 의해 다소 확장되었다.[1] 1816년, 이 영지는 리히텐베르크 공국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에른스트는 1834년에 이를 프로이센에 매각했다.[3]
1825년, 에른스트의 첫 번째 부인 루이즈의 삼촌인 작센고타알텐부르크의 프리드리히 4세 공작이 후계자 없이 사망했다. 이로 인해 에른스트 가의 공국들이 재편성되었다. 에른스트는 루이즈의 남편으로서가 아니라 에른스트 가문의 일원으로서 고(故) 공작의 영지에 대한 권리를 주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는 당시 루이즈와 이혼하는 과정에 있었고, 다른 가문들은 그가 고타를 상속받지 못하도록 주장함으로써 더 나은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한 지렛대로 이것을 이용했다. 그들은 1826년 11월 12일에 타협을 이루었다. 에른스트는 고타를 받았지만 잘펠트를 작센마이닝겐에 양도해야 했다. 그는 이후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에른스트 1세 공작"이 되었다. 그는 1821년에 코부르크에 헌법을 부여했지만, 고타의 통치 체제에는 간섭하지 않았다.[1]
에른스트는 원래 자신이 갖고 있던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위와 처가의 작센고타알텐베르크 공작위를 합쳐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이라는 새로운 직위로 바꿨다.
1817년 7월 3일 고타에서 작센고타알텐베르크 공작 아우구스트의 딸인 루이제 폰 작센고타알텐부르크 공녀와 결혼했지만 문란한 사생활로 인해 갈등을 빚게 된다. 에른스트와 루이제 부부는 에른스트 2세, 알베르트 두 아들을 두었으나 1824년에 결별했고 1826년 3월 31일을 기해 공식적으로 이혼하게 된다.
1832년 12월 23일에는 코부르크에서 외조카인 마리 폰 뷔르템베르크와 재혼했으나 자녀가 없었다. 1839년에는 차남인 앨버트가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과 결혼해서 여왕의 외삼촌이자 시아버지가 되었다.
코부르크에서 에른스트는 새로운 건물에 ''호프테아터''를 설립하는 등 다양한 건설 프로젝트를 책임졌다.[3] 오늘날과 같은 모습의 ''슐로스플라츠''는 그의 통치하에서 이루어진 작업의 결과이다.[3] 그는 주로 그의 영토의 경제적, 교육적, 헌법적 발전과 코부르크 가문이 얻은 중요한 국제적 지위로 기억된다.[1]
에른스트는 1844년 1월 29일에 사망했으며, 처음에는 모리츠 교회에 묻혔지만, 이후 새로 지어진 ''Friedhof am Glockenbergde''의 묘소로 이장되었다.[3]
2. 1. 초기 생애
코부르크에서 프란츠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과 아우구스테 로이스 추 에베르스도르프 백작부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정확하게는 사산된 형이 있었으므로 차남이다.[1] 그의 남매로는 포르투갈의 페르난두 2세 국왕의 아버지이자 불가리아의 페르디난드 1세 국왕의 할아버지인 페르디난트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벨기에의 초대 국왕인 레오폴 1세,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의 어머니인 빅토리아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녀가 있다.1803년 5월 10일, 19세의 에른스트는 아버지의 병세가 위독해지자 성년으로 선포되었고, 공국의 통치에 참여해야 했다.[1] 1806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에른스트는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위를 계승했다. 그러나 그는 나폴레옹 군대에 의해 공국이 점령당하고 프랑스의 행정 아래 있었기 때문에 즉시 그의 영지를 공식적으로 통치할 수 없었다.[1] 틸지트 조약 (1807년) 이후,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국은 재통합되어 에른스트에게 반환되었다.[1] 이는 그의 여동생인 율리아네가 러시아 차르의 형제와 결혼했기 때문에 러시아의 압력에 의해 이루어졌다.
1817년, 작센고타알텐부르크 공작 아우구스트의 딸 루이제와 고타에서 결혼했다. 루이제와의 사이에서 에른스트 2세, 조카인 빅토리아 여왕의 왕배가 되는 알브레히트 (영어명 알버트)의 두 아들을 두었지만, 에른스트의 여색으로 인해 부부 사이는 좋지 않았다.
1825년 프리드리히 4세가 사망하고 작센고타알텐부르크 공가가 단절되자, 동족인 베틴가의 작센 제후들이 영지를 분배하게 되었다. 에른스트는 고타를 획득하고, 1826년에 칭호를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으로 변경했다. 이렇게 두 공국의 동군 연합으로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이 성립되었다. 또한 같은 해에 에른스트는 루이제와 이혼했다.
1832년, 에른스트는 누이 안토이네테와 뷔르템베르크 공자 알렉산더의 딸이자 자신의 조카인 마리와 코부르크에서 결혼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다.
2. 2. 결혼과 자녀
에른스트 1세는 1817년 7월 31일 고타에서 작센고타알텐부르크의 루이제 공녀와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었다.[2]사진 | 이름 | 생일 | 사망 | 기타 |
---|---|---|---|---|
![]() | 에른스트 2세 | 1818년 6월 21일 | 1893년 8월 22일 (75세) | 1842년 바덴의 알렉산드리네와 결혼, 자녀 없음 |
![]() |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 | 1819년 8월 26일 | 1861년 12월 14일 (42세) | 영국 빅토리아 여왕과 결혼, 4남 5녀 |
에른스트 1세와 루이제의 결혼 생활은 남편과 아내 모두 난잡했기 때문에 불행했다.[2] 리턴 스트레이치는 "공작 궁정은 엄격한 도덕성으로 유명하지 않았습니다. 공작은 기사도 정신을 가진 사람이었고, 공작 부인은 남편의 본보기를 따랐습니다. 스캔들이 있었습니다."라고 말했다.[2] 에른스트와 루이즈는 1824년에 별거했고 1826년 3월 31일에 공식적으로 이혼했다. 루이즈는 1831년에 사망했다.[2]
에른스트 1세는 1832년 12월 23일 코부르크에서 자신의 조카이자 누이인 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안토아네트 공녀의 딸인 뷔르템베르크의 마리 공작 부인과 재혼했지만, 자녀는 없었다. 이 결혼으로 마리는 알베르트 공의 사촌이자 계모가 되었다.
에른스트 1세는 세 명의 사생아를 두었다.[2]
- 베르타 에르네스틴 폰 샤우엔슈타인 (1817년 1월 26일 코부르크 출생, 1896년 8월 15일 사망): 소피 페르페핀 드 마르토의 딸. 그녀는 사촌 에두아르트 에드가르 슈미트-뢰베 폰 뢰벤펠스와 결혼했다. 에두아르트 에드가르 슈미트-뢰베 폰 뢰벤펠스는 에른스트 1세의 누이인 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율리아네 공녀의 사생아였다.
- 에른스트 알베르트와 로베르트 페르디난트: 1838년 마르가레타 브라운에게서 태어난 쌍둥이. 그들은 1856년에 ''브루넥 남작''으로 만들어졌다.
2. 3.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코부르크에서 프란츠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과 아우구스테 로이스 추 에베르스도르프 백작부인의 장남(정확하게는 사산된 형이 있었으므로 차남임)으로 태어났다.[1] 그의 남매로는 포르투갈의 페르난두 2세 국왕의 아버지이자 불가리아의 페르디난드 1세 국왕의 할아버지인 페르디난트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벨기에의 초대 국왕인 레오폴 1세,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의 어머니인 빅토리아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녀가 있다.1806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위를 계승했다. 1825년, 에른스트의 첫 번째 부인 루이즈의 삼촌인 작센고타알텐부르크의 프리드리히 4세 공작이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에른스트 가의 공국들이 재편성되었다.[1] 에른스트는 루이즈의 남편으로서가 아니라 에른스트 가문의 일원으로서 고(故) 공작의 영지에 대한 권리를 주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는 당시 루이즈와 이혼하는 과정에 있었고, 다른 가문들은 그가 고타를 상속받지 못하도록 주장함으로써 더 나은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한 지렛대로 이것을 이용했다.[1] 그들은 1826년 11월 12일에 타협을 이루었는데 에른스트는 고타를 받았지만 잘펠트를 작센마이닝겐에 양도해야 했다.[1] 그는 이후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에른스트 1세 공작"이 되었다.[1] 그는 1821년에 코부르크에 헌법을 부여했지만, 고타의 통치 체제에는 간섭하지 않았다.[1]
에른스트는 원래 자신이 갖고 있던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위와 처가의 작센고타알텐베르크 공작위를 합쳐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이라는 새로운 직위로 바꿨다. 코부르크에서 에른스트는 새로운 건물에 ''호프테아터''를 설립하는 등 다양한 건설 프로젝트를 책임졌다.[3] 오늘날과 같은 모습의 ''슐로스플라츠''는 그의 통치하에서 이루어진 작업의 결과이다.[3] 그는 주로 그의 영토의 경제적, 교육적, 헌법적 발전과 코부르크 가문이 얻은 중요한 국제적 지위로 기억된다.[1]
1817년 고타에서 작센고타알텐베르크 공작 아우구스트의 딸인 루이제 폰 작센고타알텐부르크 공녀와 결혼했지만 문란한 사생활로 인해 갈등을 빚게 된다. 에른스트와 루이제 부부는 에른스트 2세, 알브레히트 (영어명 알버트)의 두 아들을 두었으나 1824년에 결별했고 1826년 3월 31일을 기해 공식적으로 이혼하게 된다. 1832년 12월 23일에는 코부르크에서 외조카인 마리 폰 뷔르템베르크와 재혼했으나 자녀가 없었다. 1839년에는 차남인 앨버트가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과 결혼해서 여왕의 외삼촌이자 시아버지가 되었다.
2. 4. 군사 경력
2. 5. 빈 회의와 영토 획득
에른스트 1세는 나폴레옹에 대항하는 군사 작전에 참여한 프로이센의 장군이었다.[1] 그는 뤼첸 전투와 라이프치히 전투 (1813년)에 참전했고, 1814년에는 프랑스 요새인 마인츠로 진격했다.[1] 라이프치히 전투 이후, 그는 "제5군단"을 지휘했다.[3]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이 패배한 후, 1815년 6월 9일 빈 회의를 통해 에른스트는 St. Wendel 마을 주변의 450제곱킬로미터 면적과 25,000명의 주민을 얻었다. 그 지역은 두 번째 파리 조약에 의해 다소 확장되었다.[1] 1816년, 이 영지는 리히텐베르크 공국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에른스트는 1834년에 이를 프로이센에 매각했다.[3]
1825년, 에른스트의 첫 번째 부인 루이즈의 삼촌인 작센고타알텐부르크의 프리드리히 4세 공작이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에른스트 가의 공국들이 재편성되었다. 에른스트는 고타를 받았지만 잘펠트를 작센마이닝겐에 양도해야 했다. 그는 이후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에른스트 1세 공작"이 되었다.[1]
2. 6. 통치와 사망
에른스트 1세는 1806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위를 계승했다.[3] 1817년 작센고타알텐부르크 공작 아우구스트의 딸 루이제와 고타에서 결혼했으나, 에른스트의 여색으로 인해 부부 사이는 좋지 않았다.[3] 1826년, 처가인 작센고타알텐부르크 공가가 단절되자 에른스트는 고타를 획득하고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으로 칭호를 변경하여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을 성립시켰다.[3] 같은 해에 루이제와 이혼했다.1832년, 에른스트는 자신의 조카인 마리와 코부르크에서 재혼했지만, 두 사람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다.[3] 1844년 1월 29일에 사망했으며, 처음에는 모리츠 교회에 묻혔지만, 이후 새로 지어진 ''프리트호프 암 글 로켄 베르크/Friedhof am Glockenbergde''의 묘소로 이장되었다.[3]
3. 훈장
- 러시아 제국/Российская Империяru:
- * 다이아몬드 장식 용감성 금검 훈장(1807년 6월)[5]
- * 성 게오르기 훈장 4등급(1813년 9월 9일)[6]
- * 다이아몬드 장식 성 알렉산더 네프스키 훈장(1813년)[5]
- * 성 안드레 훈장 기사단
- * 성 안나 훈장 1등급 기사단
- 작센 왕국/Königreich Sachsende:[7]
- * 루 크라운 훈장 기사단(1810년)
- * 성 헨리 군사 훈장 대십자 기사단(1815년)
- 오스트리아 제국/Österreichisches Kaiserreichde: 헝가리 왕립 성 슈테판 훈장 대십자 기사단(1820년)[8]
-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Sachsen-Weimar-Eisenachde: 백색 매 훈장 대십자 기사단(1828년 1월 6일)[9]
- 작센코부르크고타, 작센알텐부르크, 작센마이닝겐:
- * 작센에른스트 가문 훈장 공동 설립자이자 단장(1833년 12월 25일)[10]
- * 성 요아킴 훈장 단장
- 벨기에/Belgique프랑스어: 레오폴드 훈장 그랜드 코르동(1835년 7월 15일)[11]
- 포르투갈 왕국/Reino de Portugalpt:[12]
- * 탑과 칼 훈장 대십자 기사단(1835년 12월 9일)
- *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왕립 군사 훈장 대십자 기사단(1836년 4월 23일)
- 영국/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Ireland영어: 가터 훈장 이방인 기사단(1838년 7월 16일)[13]
- 프랑스 왕국/France프랑스어: 레지옹 도뇌르 훈장 대십자 기사단(1840년 5월)[14]
- 바덴/Badende:[15]
- * 충성 가문 훈장 기사단(1842년)
- * 체링거 사자 훈장 대십자 기사단(1842년)
- 프로이센 왕국/Königreich Preußende:
- * 검은 독수리 훈장 기사단
- * 적색 독수리 훈장 대십자 기사단
4. 가계
wikitable
사진 | 이름 | 생일 | 사망 | 기타 |
---|---|---|---|---|
에른스트 2세 | 1818년 6월 21일 | 1893년 8월 22일 (75세) | 1842년 바덴의 알렉산드리네와 결혼, 자녀 없음 | |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 | 1819년 8월 26일 | 1861년 12월 14일 (42세) | 영국 빅토리아 여왕과 결혼, 4남 5녀 |
```
에른스트 1세는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와 로이스-에버스도르프 백작부인 아우구스타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에른스트 프리드리히이며, 어머니는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녀 조피 안토니에이다. 로이스-에버스도르프 백작 하인리히 24세와 에르바흐-쇤베르크 백작부인 카롤리네 에르네스틴는 그의 외조부모이다.
그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 '''에른스트 1세'''
- * '''2.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
- * '''3. 로이스-에버스도르프 백작부인 아우구스타'''
- ** '''4.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에른스트 프리드리히'''
- ** '''5.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녀 조피 안토니에'''
- ** '''6. 로이스-에버스도르프 백작 하인리히 24세'''
- ** '''7. 에르바흐-쇤베르크 백작부인 카롤리네 에르네스틴'''
'''8.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 요시아스'''
'''9. 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 공녀 안나 조피'''
'''10.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 페르디난트 알브레히트 2세'''
'''11.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녀 안토니에'''
'''12. 로이스-에버스도르프 백작 하인리히 29세'''
'''13. 카스텔-렘링겐 백작부인 조피 테오도라'''
'''14. 에르바흐-쇤베르크 백작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15. 스톨베르크-게데른 백작부인 페르디난데 헨리에테'''
참조
[1]
서적
Ernest I.
[2]
서적
Queen Victoria
Chatto and Windus
1921
[3]
서적
Coburg Stadt und Land (German)
Verkehrsverein Coburg
[4]
간행물
Genealogie des Herzoglichen Hauses
https://zs.thulb.uni[...]
Staatshandbücher für das Herzogtum Sachsen-Coburg und Gotha
1843
[5]
간행물
Словарь русских генералов, участников боевых действий против армии Наполеона Бонапарта в 1812—1815 гг.
http://www.museum.ru[...]
Russian archives
[6]
서적
Almanach de la cour: pour l'année ... 1817
l'Académie Imp. des Sciences
[7]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Freistaat Sachsen: 1843
https://books.google[...]
Heinrich
[8]
웹사이트
A Szent István Rend tagjai
http://tornai.com/re[...]
2010-12-22
[9]
간행물
Großherzogliche Hausorden
https://zs.thulb.uni[...]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1843
[10]
간행물
Herzogliche Sachsen-Ernestinischer Hausorden
https://zs.thulb.uni[...]
Staatshandbücher ... Sachsen-Coburg und Gotha
1837
[11]
서적
Almanach royal officiel, publié, exécution d'un arrête du roi
[12]
간행물
Agraciamentos Portugueses Aos Príncipes da Casa Saxe-Coburgo-Gota
https://www.academia[...]
2014
[13]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London
1906
[14]
서적
Les Grand'Croix de la Légion d'honneur de 1805 à nos jours. Titulaires français et étrangers
Archives & Culture
2009
[15]
간행물
Großherzogliche Orden
https://digital.blb-[...]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184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